국내해외뉴스

[와인상식] 샴페인 라벨 읽기

샴페인 라벨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

샴페인 라벨엔 원산지 통제 명칭인 아펠라시옹 샹파뉴(Appellation Champagne)가 명확하게 쓰여있다.


당도도 알 수 있다. 단맛이 전혀 없는 브뤼 나튀르(Brut Nature)부터 엑스트라 브뤼(Extra Brut), 브뤼(Brut), 엑스트라 드라이(Extra Dry), 섹(Sec), 드미-섹(Demi-sec), 두(Doux) 순서로 점점 달콤해지는 당도 표시를 볼 수 있다. 단, 브뤼는 0~12g/L 범위 안에서 샴페인 생산자가 결정할 수 있다. 따라서, 브뤼라고 표시된 샴페인은 때로 너무 드라이하게 반대로 단맛이 느껴질 수 있다.


샴페인 브랜드 이름을 볼 수 있다. 더불어, 각 샴페인 하우스 뀌베 유형(블랑 드 블랑 Blanc de Blancs, 로제 Rosé, 블랑 드 누아 Blanc de Noirs), 빈티지 Vintage)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이 표시된다.


샴페인 협회가 발행한 생산자 범주를 나타내는 알파벳 2개 이니셜, 등록 번호와 코드 번호를 볼 수 있다. 생산자 범주에는 네고시앙 마니퓰랑(Négociant-Manipulant, NM), 레콜탕 마니퓰랑(Récoltant-Manifulant, RM)등을 의미한다.


기포 형성 및 숙성을 마친 죽은 효모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고쥬망(영어로 Disgorgement)날짜 표시도 볼 수 있다.


그 외 부피별 알코올 백분율(% / vol), 병용량(l, cl 또는 ml), 배치 코드(병 자체에 도장을 찍기도 함), 알레르기 유발 물질 함량(예: 이산화황, 황산염 등 - 뒷면 라벨에 언급되기도 함), '임신 시 소량의 술이라도 마시면 태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'는 경고나 기호(특정 국가에서 요구하는 사항), 생산자 또는 회사 이름, 그 생산자가 등록된 코뮌의 이름(다른 경우 교역 주소 포함)과 원산지(프랑스)의 이름 등 이 표시된다.


프로필이미지와인21미디어

기자 페이지 바로가기

작성 2020.05.11 11:04수정 2020.05.12 14:10

Copyrights © 와인21닷컴 & 미디어.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
최신 이벤트 전체보기

최신 뉴스 전체보기

  • 스펙테이터100
  • 보졸레
  • 크룩 광고
  • 태즈메이니아 와인 트레이드 쇼
  • 책갈피 속 와인 아로마
  • 조지아인스타그램

이전

다음

뉴스레터
신청하기

TOP